
머리말
개인용 PC든, 사무실 PC든 네트워크 IP 주소를 고정으로 할당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본인의 경우 간단한 서버를 실행할 목적으로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동적 IP 주소(자동 할당)를 사용하므로 직접 IP를 고정할 일이 많지는 않지만, 고정 IP 주소 설정은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다소 복잡할 수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Windows 7 운영체제에서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도록 한다.
Windows7 고정 IP 주소 설정 방법
제어판(Control Panel)을 열고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메뉴로 이동한다. 해당 메뉴는 자신의 네트워크 및 연결 형식을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다. 사진과 같이 메뉴의 오른쪽에 위치한 로컬 영역 연결 메뉴를 클릭한다.

로컬 영역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로컬 영역 연결 상태] 화면이 열리며, 해당 화면에서 속성(P) 버튼을 클릭한다.

추가로 열리는 화면은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인데, 해당 화면에서 네트워크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해당 화면에서 Internet Protocol Version 4 ...를 선택한 후 속성 버튼을 클릭한다.

또다시 추가로 열리는 화면은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 속성] 이며 컴퓨터의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자신의 컴퓨터가 고정 IP 주소로 설정되어있지 않다면,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O) 항목에 체크되어 있을 것이다. 해당 화면에서 다음 IP 주소 사용(S) 항목을 체크하고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면 된다.

고정 IP 주소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명령 프롬프트(cmd)를 열고 아래 사진과 같이 ipconfig -al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다. 명령어 수행 후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고정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꼬리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할 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및 DNS 서버 입력란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재 연결된 인터넷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본 포스팅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명령 프롬프트의 ipconfig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기본 정보를 확인하면 어렵지 않게 고정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고정 IP 주소는 아무 숫자나 입력할 수 없고, 기본 게이트웨이와 서브넷 마스크의 범위 내에서 할당이 가능하다. 해당 내용이 정확히 이해가 안 된다면 IP 주소의 가장 뒷자리 번호만 변경 가능하다는 정도로 이해해도 좋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고정 아이피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한 본 포스팅은 이로써 마무리를 짓도록 한다.
소중한 댓글 (0)